반응형
웹 접근성(Web Accessibility)
웹 접근성이란?
- 모든 사용자(장애인, 고령자 포함)가 차별 없이 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.
- 프론트엔드의 핵심 가치: 누구나 접근 가능한 웹.
- 이를 갖춘 사이트를 "웹 접근성이 있다"라고 표현.
- 줄임말: A11Y (a + 11글자 + y)
왜 중요한가?
- 웹은 정보에 접근하는 창구이므로, 특정 환경(장애, 장치 제약 등)에서도 접근 가능해야 함.
- 접근성을 지키면 → 어떤 환경에서도 웹 이용 가능.
- 우리나라에서는 법적 의무로, 공공기관이나 대형 사이트는 오픈 전 반드시 인증 필요.
지켜야 할 조건
- 👀 시각 장애인 → 화면낭독기(Screen Reader)로 읽을 수 있어야 함.
- ⌨️ 마우스 사용 불가 사용자 → 키보드만으로 조작 가능해야 함.
- 🛠️ 보조 장치 사용자 → 장치와 호환 가능해야 함.
우리나라의 정의 (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)
“장애인, 고령자 등 모든 사용자가
어떤 기술 환경에서도 차별 없이
웹 사이트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”
웹 접근성 = 모든 사용자 + 모든 환경 → 동등한 접근 보장
웹 접근성 고려사항 & 참고 사이트
웹 접근성 = 시각, 이동, 청각, 인지 장애를 고려해 누구나 편리하게 접근 가능하도록 설계
1. 웹 접근성 고려해야 할 장애 유형
웹 접근성을 지키려면 다음 4가지 장애를 고려해야 함:
- 시각 장애
- 전맹, 저시력, 색각 이상, 지적 장애 등
- → 화면낭독기 등 보조 도구로 접근 가능해야 함
- 이동 장애
- 손이나 팔 사용이 어려운 경우
- → 키보드만으로 사이트 조작 가능해야 함
- 청각 장애
- 청각 이상, 청각 전부 상실
- → 음성 정보 제공 시 자막, 수화, 대체 수단 제공
- 인지/학습 장애
- 기억력, 발달 문제, 학습장애 등
- → 누구나 이해할 수 있도록 명확하고 단순한 콘텐츠 제공
👉 이 4가지를 고려한다고 해서 코드 작성이 더 어려운 것은 아님.
HTML 태그를 잘 활용하고 문서를 작성할 때 속성을 추가하면 됨.
핵심은 사용자가 다양한 환경에서도 편리하게 웹을 이용할 수 있도록 배려하는 것.
참고할 사이트
웹 접근성 전체 내용을 다 외울 필요는 없음 → 필요할 때 참고 가능.
- NULI (http://nuli.navercorp.com/)
- 네이버에서 운영하는 웹 접근성 교육·세미나 사이트
- 메뉴에서 [지침] 항목 클릭 시 웹 접근성 지침과 사례 확인 가능
실제 장애인이 웹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시뮬레이션 제공
반응형
'CS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| [ CS이론 ] 웹의 기본 동작 이해하기 (1) | 2025.09.25 |
|---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