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S이론

[ CS이론 ] 웹의 기본 동작 이해하기

변쌤(이젠강남) 2025. 9. 25. 16:30
반응형

웹의 기본 동작 이해하기 

 

 

IP 주소와 도메인, DNS 서버 

 

사용자 입력 (도메인)DNS 서버 변환실제 서버의 IP 주소 연결

1. IP 주소

  • 인터넷에 연결된 서버는 고유한 주소(IP) 를 가짐.
  • 웹 페이지를 구분하는 기준.
  • 형식
    • IPv4: 173.194.121.32 (숫자 4개 조합)
    • IPv6: 2001:0DB8:0000:0000:0000:0000:1428:57ab (숫자 8개 조합)

 

 

2. 도메인 (Domain)

  • 사람이 기억하기 쉽도록 IP 주소 대신 사용하는 이름.
  • 예:
    • IP 주소 → 173.194.121.32
    • 도메인 → google.com

👉 사용자가 브라우저에 도메인을 입력하면 해당 IP 주소로 연결됨.

 

 

3. DNS 서버 (Domain Name Server)

  • 도메인 ↔ IP 주소 변환기 역할.
  • 사용자가 입력한 도메인을 빠르게 IP 주소로 바꿔서 올바른 서버에 연결해 줌.
사용자 (브라우저)
        │
        ▼
   도메인 입력
 (예: google.com)
        │
        ▼
     DNS 서버
 ┌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┐
 │ 도메인 → IP 변환 │
 └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─┘
        │
        ▼
   실제 서버 연결
 (예: 173.194.121.32)
        │
        ▼
   웹 페이지 표시

 

도메인 입력 → DNS 변환 → IP 주소 → 서버 연결 → 웹 페이지 출력

 

 

 

HTTP 프로토콜과 HTTPS 프로토콜

 

한국인과 독일인은 사용하는 언어가 달라 소통하기 힘들지만, 영어로 말한다면 문제없이 대화할 수 있음.
→ 웹도 마찬가지로,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사용하는 프로그램 언어·동작 방식이 달라도 규칙(프로토콜) 이 있으면 소통 가능.
→ 이 규칙을 HTTP 프로토콜 이라고 함.

 

 

HTTP 프로토콜

  • 인터넷이 등장하면서 만들어진 기본 개념.
  • 모든 사이트는 기본적으로 HTTP 프로토콜을 사용해 접속.

 

HTTPS 프로토콜

  • 웹 애플리케이션이 발전하면서 개인 정보·결제 정보 등 민감한 데이터가 오고 갈 필요가 많아짐.
  • 이를 위해 HTTP 프로토콜 + 암호화 → 보안을 강화한 것이 HTTPS 프로토콜.
  • HTTPS의 ‘S’는 Security(보안) 의미.

 

예시

  • 구글 웹 사이트 주소 https://www.google.com
    • 앞의 https:// 가 프로토콜을 나타냄.
  • 최신 크롬 브라우저는 HTTP 사이트 차단 → 앞으로 웹사이트 개발 시 HTTPS 사용 필수.

 

 

 

반응형

'CS이론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[ CS이론 ] 웹 접근성이란  (0) 2025.09.25